2018 국내 은행코드 (카카오뱅크, 케이뱅크 추가)
개발/기타
2018. 11. 26. 14:55
회사에서 돈 나가는 일을 하다보면 듣게 되는 은행코드
전산상으로 은행을 구분하는 3자리의 고유번호 정도로 알고 있었다.
(사실 필자도 잘 모르다가 개발하면서 듣게 되었음...)
여튼 작년에 카카오뱅크랑 케이뱅크가 생겼는데
리포트 개발한거 뒤늦게 수정하느라 정리해놓는다.
은행명 |
은행코드 |
한국은행 |
001 |
KDB 산업은행 |
002 |
IBK 기업은행 | 003 |
KB 국민은행 | 004 |
SH 수협은행 | 007 |
NH 농협은행 | 011 |
지역 농·축협 | 012 |
우리은행 | 020 |
SC 제일은행 | 023 |
한국씨티은행 | 027 |
대구은행 | 031 |
부산은행 | 032 |
광주은행 | 034 |
제주은행 | 035 |
전북은행 | 037 |
경남은행 | 039 |
새마을금고 | 045 |
신용협동조합 | 048 |
상호저축은행 | 050 |
도이치은행 | 055 |
KEB 하나은행 | 081 |
신한은행 | 088 |
케이뱅크 | 089 |
카카오뱅크 | 090 |
★참고)
1. 조흥은행 (021)은 신한은행(088)으로 합쳐져서 사용이 불가능하다.
(과거자료에 남아있긴 함)
2. 간혹 농협조합원 (012) 이런식이 있긴한데, 이건 확인 필수
3. 구 외환은행 (현재 KEB하나은행) 은 은행코드가 005였는데, 아직도 사용하긴 함.
(그런데 영 찜찜하니 추가하긴 그렇고....)
4. 신용협동조합 = 신협
'개발 >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윈도우 OS 계정 비밀번호 바꾸기 (0) | 2018.02.22 |
---|---|
Visual Studio Code (VSCode) 한글 설정법 (2) | 2018.01.04 |